1. 개념
1) 화폐의 시간가치
화폐는 시간에 따라 가치가 변한다. 돈을 사용하면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자 또는 화폐의 시간가치라고 한다. 따라서 현재의 100원과 미래의 100원의 가치는 동일하지 않으며 어떤 100원이 더 큰지는 이자율이 얼마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2) 단순이자와 복리이자
단순이자 계산이란 최초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이고 복리이자 계산은 미지급이자를 원금에 가산한 금액을 기초로 다시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즉, 복리이자는 이자가 새로운 이자를 발생시킨다. 기업이 의사결정 할 때나 금융기관이 이자를 계산할 때는 일반적으로 복리이자를 적용한다.
2. 단순현금흐름의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목돈이란 현금흐름이 한 번만 있는 것을 말하고 연금은 현금흐름이 일정 기간 마다 여러 번 있는 것을 말한다.
1) 미래가치
미래가치란 현재 시점의 일정 금액이 미래시점의 얼마에 해당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미래가치를 계산하기 위해 각 이자율과 기간에 대한 1원의 미래가치 값을 구해둔 표가 있으며 이 표를 단순현금흐름의 미래가치계수표, 복리이자요소표 또는 종가표라고 한다.
2) 현재가치
현재가치란 미래시점의 일정 금액이 현재 시점의 얼마에 해당하는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미래가치 계산과정을 역으로 생각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해 각 이자율과 기간에 대한 1원의 현재가치 값을 구해둔 표가 있으며 이 표를 현재가치계수표 또는 현가표라고 한다.
3. 정상연금의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단순현금흐름은 오직 현금흐름이 한 번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정상연금은 일정 기간 마다 매기간 말에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거나 받는 것을 의미한다. 연금의 미래가치 또는 현재가치를 구할 때는 현금흐름이 매기간 말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1) 정상연금의 미래가치
정상연금의 미래가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각 이자율과 기간에 대한 1원의 정상연금의 미래가치 값을 구해둔 표가 있으며 이 표를 미래가치계수표 또는 연금의 복리이자요소표라고 한다.
2) 정상연금의 현재가치
정상연금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각 이자율과 기간에 대한 1원의 정상연금의 현재가치 값을 구해둔 표가 있으며 이 표를 정상연금의 현재가치계수표 또는 연금의 현가표라고 한다.
3) 현가계수와 연금현가계수의 관계
현가표의 현가계수와 연금현가표의 연금현가계수는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가표만으로도 연금현가계수를 구할 수 있고, 연금현가표만으로도 현가계수를 구할 수 있다. 연금현가계수는 1기간부터 일정 기간까지의 현가계수를 모두 합한 값이다.
'회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채권 및 채무의 현재가치평가 (0) | 2022.12.07 |
---|---|
이익측정법 및 측정기준 (0) | 2022.12.05 |
자본, 자본유지개념 및 이익의 측정 (0) | 2022.12.04 |
재무제표 요소(자산, 부채, 수익, 비용)의 인식 (0) | 2022.12.03 |
재무제표의 기본가정 및 요소 (0) | 2022.11.30 |
댓글